최신 이슈

산불, 미리 준비하면 막을 수 있습니다! – 산불 예방과 대피 요령 총정리

호기심궁금이 2025. 3. 23. 21:34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면서 산불이 급격히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특히 산불이 많이 일어나서 1월부터 3월까지 발생한 산불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배나 증가했으며, 피해 면적도 훨씬 넓어졌습니다. 특히 바람이 강하게 불고 강수량이 적은 시기에는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산불 예방 방법과 대피 요령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산불 예방 수칙, 이렇게 실천해요

  1. 산 근처에서는 쓰레기나 영농부산물, 잡초 소각 등을 절대 하지 마세요. 특히 바람 부는 날은 아주 위험합니다.
  2. 입산통제구역과 폐쇄된 등산로는 출입하지 않습니다.
  3. 허용된 야영지에서만 취사하고, 화기 사용 후에는 반드시 불이 꺼졌는지 확인합니다.
  4. 연기나 불꽃을 발견하면 즉시 119, 112 또는 산림청에 신고해야 합니다. ‘스마트산림재해’ 앱을 이용하면 빠르게 신고할 수 있습니다.

집 주변 안전관리도 중요해요

  • 집에서 1.5m 이내에는 불연성 자재(돌, 흙 등)를 깔아두고, 낙엽이나 쓰레기는 수시로 정리합니다.
  • 불에 탈 수 있는 가연성 자재나 쓰레기는 집에서 1.5m 이상 떨어진 곳에 보관해야 합니다.
  • 창문 근처엔 수분이 많은 식물을 심고, 지붕이나 베란다에 쌓인 낙엽은 꼭 제거해 주세요.

산불 발생 시, 이렇게 대피하세요

  • 산불이 발생하면 산과 멀리 떨어진 도로를 이용해 마을회관, 학교, 공터 등 안전한 곳으로 이동합니다.
  • 집 안에서는 창문과 문을 닫고, 커튼과 가연성 가구를 방 중앙으로 옮깁니다.
  • 차량은 진입로 가까이에 두고 언제든 즉시 대피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연기를 피하려면 젖은 수건이나 마스크로 입과 코를 가리세요.

 

특수상황별 대처법

  • 어린이와 함께일 땐 손을 꼭 잡고 행동 요령을 설명해 줍니다.
  •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분은 평소 대피 방법과 보호자 연락망을 준비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가축이나 반려동물이 있다면 물과 먹이를 준비하고, 축사 문을 열어 자율 대피가 가능하도록 합니다.

산불 진화 후 행동 요령

  • 부상자가 없는지 확인하고, 집에 피해가 있는지 점검한 후 귀가 여부를 결정합니다.
  • 집 주변의 불씨가 남아 있는지 확인하고 이상 징후가 보이면 즉시 신고하세요.

🔥 산불은 작은 부주의에서 시작되지만, 준비된 대처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웃과 함께 대비하고, 행동 요령을 가족과 공유해 주세요. 검색을 통해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산불 예방법”, “산불 대피 요령”을 입력해보세요.

👉 공유하고 저장해 두면, 위기 상황에서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산불예방 #산불대피요령 #재난안전수칙 #봄철산불 #건조주의보 #행동요령 #안전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