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스노클링, 프리다이빙, 스킨다이빙, 스쿠버다이빙- 무엇이 다른가? 장단점

호기심궁금이 2025. 4. 2. 16:38

스노클링, 프리다이빙, 스킨스쿠버, 스쿠버다이빙은 모두 수중 활동이지만, 각각 목적과 장비, 기술 수준이 다릅니다.


1. 스노클링(Snorkeling)

  • 수면 근처에서 머무르며 관찰하는 활동
  • 스노클(호흡관), 물안경(마스크), 오리발(핀) 정도의 간단한 장비를 착용하고 물 위에 떠서 맑은 물 속의 장관을 구경하는 활동
  • 수영을 못해도 가능 (구명조끼 착용 가능)
스노클링

⚖️ 장점

✔️ 비용이 저렴하고 장비가 간단함. 
✔️ 특별한 훈련 없이 누구나 가능
✔️ 장시간 물속에서 머무를 필요 없음

❌ 단점

✖️ 깊이 잠수할 수 없음 (주로 수면에서 활동)
✖️ 물속에서 숨을 쉬지 못하므로 긴 시간 머무를 수 없음

 

 2. 스킨다이빙(Skin Diving)

  • 공기탱크 없이 숨참고 다이빙
  • 기본 장비만 사용  마스크, 스노클, 핀, 웨이트벨트(선택)
  • 주로 수심 3~10m 이내에서 활동
  • 프리다이빙보다 심플하고 부담 없이 즐길 수 있음

 

장점

✔️ 장비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함
✔️ 특별한 자격증 없이도 쉽게 배울 수 있음
✔️ 비교적 자유롭게 물속에서 활동 가능

단점

✖️ 오래 잠수할 수 없음 (숨을 참고 있어야 함)
✖️ 깊이 내려갈수록 수압(압력) 조절 기술이 필요함

 

3. 프리다이빙(Freediving) 

  • 호흡을 멈춘 상태(무호흡)에서 깊이 잠수하는 활동.
  • 스노클링보다 깊이 내려가며, 산소통을 사용하지 않음. 오랫동안 숨을 참는 훈련을 한 사람은 보통 3~5분 이상 숨을 참을 수 있으므로 물속으로 30m 깊은 곳까지 잠수를 즐길 수 있습니다.
프리다이빙은 맨 몸으로 물속 깊숙이 다닐 수 있습니다

 

  • 훈련을 통해 폐활량과 호흡 조절 능력을 향상시켜야 함

⚖️ 장점

✔️ 장비가 단순하고 자연친화적
✔️ 물속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음
✔️ 수중 촬영이나 해양생물 관찰에 유리

❌ 단점

✖️ 숙련도가 필요하며, 초보자가 쉽게 도전하기 어려움
✖️ 체력 소모가 크고, 잘못하면 산소 부족(저산소증, 블랙아웃) 위험이 있음
✖️ 깊이 들어갈수록 수압이 강해짐

 

4. 스쿠버다이빙(Scuba Diving)

  • 공기탱크(산소통)를 착용하고 수중에서 호흡 가능
  • 깊이 30~40m까지 잠수 가능. 수심 30m에서 20분 이상 잠수하면 감압을 하며 천천히 상승해야 합니다. 즉, 1분에 10m수준으로 천천히 상승해야 하고, 수심 5m에서도 3~5분 동안 정지했다가 수면까지 천천히 올라와야 합니다.
  • 전문 교육 및 자격증(오픈워터, 어드밴스드 등)이 필요함

 

⚖️ 장점

✔️ 장시간 수중 탐험 가능
✔️ 수압 조절(감압) 기술을 익히면 깊이 있는 곳까지 안전하게 다이빙 가능
✔️ 수중 촬영, 난파선 탐사, 동굴 다이빙 등 다양한 활동 가능

❌ 단점

✖️ 장비가 무겁고 비용이 많이 듦
✖️ 자격증 취득과 교육 과정이 필요
✖️ 감압병(Decompression sickness) 등 수심에 따른 위험 요소 존재

 

🎯 어떤 활동을 선택할까?

  • 편하게 즐기고 싶다면?스노클링
  • 스쿠버다이빙을 경험하고 싶은데 장비 부담이 있다면?스킨스쿠버
  • 숨 참기에 자신 있고 자유롭게 다이빙하고 싶다면?  충분한 훈련 후 프리다이빙에 도전
  • 전문적으로 수중 탐험을 하고 싶다면?스쿠버다이빙
  • 스킨스쿠바도 있는데 이는 스쿠버다이빙보다 약간 더 들어가고 장비도 일부 사용하여 혼동이 오므로 기록하지 않았습니다.
     

어떤 스타일이든,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장비 사용법과 기본적인 안전 수칙을 반드시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