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이슈

지진이 나면 왜 전염병의 발생이 많아질까?

호기심궁금이 2025. 4. 1. 17:13

지진이 발생하면 전염병이 더 유행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된 원인은 위생 환경 악화, 깨끗한 식수 부족, 의료 시스템 붕괴, 인구 밀집 증가 등이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위생 환경 악화

  • 지진으로 인해 상하수도 시설이 파괴되면서 쓰레기와 오폐물이 쌓이고, 위생 상태가 악화됩니다.
  • 화장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배설물이 오염원을 제공하여 감염병이 퍼질 가능성이 커집니다.
  • 오염물들에 파리나 쥐들이 더 들끓으면서 이러한 매개체들이 전염병을 퍼뜨립니다.

2. 깨끗한 식수 부족

  • 지진으로 인해 상수도관이 파손되면 깨끗한 물 공급이 어려워집니다.
  • 사람들이 오염된 물을 마시게 되면 장티푸스, 콜레라, 이질 등 수인성 전염병이 발생할 위험이 커집니다. 

3. 의료 시스템 붕괴

  • 병원과 보건소가 파괴되거나 의료진이 부족하면 전염병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워집니다.
  • 백신이나 항생제 공급이 원활하지 않으면 질병이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큽니다.

4. 대피소에서의 감염 확산

  • 지진 피해로 인해 많은 사람이 비좁은 대피소에서 생활하게 됩니다.
  • 사람들이 밀집된 환경에서는 호흡기 감염병(감기, 독감, 폐렴, 결핵 등)과 피부병(옴, 진균 감염 등)이 쉽게 퍼질 수 있습니다.

5. 면역력 저하

  • 재난 이후 영양 부족, 스트레스, 수면 부족으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집니다.
  • 면역력이 낮아지면 평소보다 감염병에 걸릴 확률이 더 높아집니다.

6. 해충 및 동물 매개 감염병 증가

  • 지진으로 인해 쥐, 모기, 파리 등의 서식지가 교란되면, 이들이 인간 거주지로 몰려와 병을 퍼뜨릴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특히 렙토스피라증(쥐), 말라리아·뎅기열(모기), 살모넬라증(파리) 등의 질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장티푸스균 보균자들의 경우에는 평소에 주변에서 우리와 함께 건강하게 살고 있었지만, 지진으로 인해 이들의 배설물이 제대로 정수 시스템으로 가지 못하고 식수를 오염시키면서 세균들의 전염이 활성화 되는 것입니다. 

7. 지진 후 전염병 예방 방법

 1. 깨끗한 물 섭취 (끓인 물 사용)
 2. 손 씻기 및 개인위생 철저히 하기
 3. 대피소에서 거리 유지 및 마스크 착용
 4. 음식은 반드시 익혀서 먹기
 5. 모기와 해충 방지 조치
 6. 전염병 예방 접종 (가능하면 백신 접종)


지진 이후에는 단순한 건물 붕괴 피해뿐만 아니라 전염병 확산에도 주의해야 합니다.
그래서 긴급 구호 물품으로 깨끗한 물, 위생 키트, 백신 등이 중요한 이유이죠!